Gpt가 분석한 더본코리아 사업 보고서 > 유머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title
유머게시판

path

  • Home
  • 커뮤니티
  • 유머게시판
  • subtitle
    커뮤니티

    sidemenu
    y

    registed
    y

    cate1
    011

    cate2
    002

    Gpt가 분석한 더본코리아 사업 보고서

    본문

    Gpt가 분석한 더본코리아 사업 보고서

    더본코리아 사업구조 및 가맹점 수익 사용처 분석



    (출처: 2025년 더본코리아 사업보고서)






    1. 더본코리아는 가맹점에서 돈을 번다





    • 2024년 총 매출 4,641억 원가맹사업 매출이 79% (3,655억 원) 차지.

    • 유통사업(12.6%), 호텔사업(1.9%)의 비중은 미미하며, 사실상 가맹점이 본사의 핵심 수익원.



    가맹점 수익 구조





    2. 가맹점주들의 부담이 크다

    ① 초기 창업 비용 과다







    • 가맹비, 교육비, 개점비, 인테리어 비용, 초기 식자재 구매 등 필수 비용 발생.



    ② 지속적인 비용 부담





    • 이중 로열티 구조: 매출과 무관한 고정 로열티 + 매출 증가에 따른 러닝 로열티 부과.

    • 원재료 강매: 가맹점이 반드시 본사에서 원재료를 구매해야 하며, 일반 시장보다 비싼 가격으로 공급.

    • 선입금제도: 원재료 주문 시 즉시 결제 → 현금 흐름 악화.






    3. 가맹점 폐점률이 높다





    • 연돈볼카츠(36.7%), 백스비어(20.7%), 막이오름(52.4%) 등 일부 브랜드의 폐점률이 높음.

    • 본사는 폐점에 대한 리스크 없이 신규 가맹점 모집으로 지속적인 수익 창출.






    4. 본사는 이 돈으로 호텔과 공장을 지었다





    • 유형자산 투자: 593억 원 (호텔, 공장, 물류센터 건설).

    • 투자부동산: 48억 원 (호텔 및 물류시설 자산화).

    • 이익잉여금 1,469억 원 보유 → 향후 M&A 및 신규 사업 투자 가능성.






    5. 주주 배당을 늘려 주주들에게 돈을 돌려줌





    • 2024년 배당금 39억 원 지급 (배당 성향 12.55%).

    • 과거 3년간 배당하지 않다가, 상장 이후 적극적으로 주주들에게 현금 배당.






    6. 해외 확장 비용을 국내 가맹점에서 충당





    • 더본코리아는 해외 진출을 위해 마스터 프랜차이즈(MF) 모델을 사용.

    • 국내 가맹점 수익을 활용해 해외 시장 개척 → 가맹점주들의 부담이 해외 진출 자금으로 쓰이고 있음.






    결론: 가맹점주들이 번 돈은 어디로 갔는가?





    최종 결론: 가맹점은 본사의 현금 인출기





    1. 더본코리아 매출의 79%가 가맹점에서 발생하며, 가맹점이 없으면 본사도 유지 불가.

    2. 가맹점에서 벌어들인 돈이 호텔, 공장 건설, 주주 배당, 내부 유보금으로 사용됨.

    3. 가맹점 폐점률이 높아도 본사는 신규 가맹점 모집을 통해 계속해서 수익 창출.

    4. 해외 사업 확장 자금도 국내 가맹점에서 벌어들인 돈으로 충당 중.

    5. 본사는 리스크 없이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는 구조이나, 가맹점주는 지속적인 부담을 지며 희생됨.



    즉, 더본코리아는 가맹점주들을 착취하며 성장하는 기업 구조를 가지고 있음.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유머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