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5급 PSAT 오징어 게임 퀴즈를 풀어보자.solve

본문
아마 여기 있는 사람들은 다들 오징어 게임을 봤으리라 생각한다.
그리고 어제(3/8) 5급 PSAT이 있었는데, 오겜이 문제 소재로 나왔다.
오겜은 추억의 놀이들을 잔인한 살인 게임으로 바꿔놨는데,
올해 PSAT 출제자들은 오겜을 잔인한 탈락 퀴즈로 바꿔놨다.
딱 봐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 둥글게 둥글게 느낌이 나지 않나?
탈락하면 조커가 싱긋 웃으면서 총으로 쏴 죽일 것 같다.
참고로 이 문제가 상당히 인상 깊었는지
DC 5급시험 갤의 기본닉이 문제에 나온 "싱긋"으로 바뀌었다.
보고 있으면 좀 정신 나간 것 같아서 무섭다.
정답률 42%로 올해 상황판단 영역에서 2번째로 어려운 문제였으니 같이 풀어보자.
참고로 풀어보면 의외로 너무 쉬워서 5급 시험에 진입하고 싶을지도 모른다.
조건 정리
1. 시작은 49명이다.
2. 생존자가 25명 미만면 게임이 끝난다. = 5회차 생존자는 24 이하이다.
3. 싱긋 = 2의 배수 탈락 = 짝수 탈락
찡긋 = 2의 배수 아닌 탈락 = 홀수 탈락
4. 웃는다 = 3의 배수 남았다.
운다 = 3의 배수 아니게 남았다.
5. 게임은 5회차까지 진행한다.
6. 1, 2, 4, 5회차엔 1~9명이 탈락한다.
7. 탈락자의 수는 모두 다르다.
8. 3회차엔 14명이 탈락한다.
문제를 풀며 조건을 언급은 하겠지만, 계속 언급하면 글이 너무 지저분해지므로 직접 따라 풀어볼 사람들은, 이 조건을 따로 메모해 두는 걸 추천한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아래의 표를 다시 알아볼 수 있게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조건을 정리해 표를 바꿨더니 훨씬 더 알아보기 쉬워졌다.
그럼 이걸 가지고 경우의 수를 나눠 문제를 풀어보자.
이 표 역시 기록해 둘 수 있으면 좋다.
1회차 경우의 수
조건 6으로 인해 탈락자는 1~9명이므로
1회차에서 1~9명이 탈락해서 3의 배수가 남아야 한다.
그러면 가능한 남는 사람의 수는 40~48이다.
이 중 3의 배수는 42, 45, 48이다.
생존자가 42가 되려면 7명이 탈락하고
45가 되려면 4명이 탈락하고
48이 되려면 1명이 탈락해야 한다.
조건을 정리한 표에 따르면 1회차의 탈락자는 짝수여야 하므로
탈락자는 4명, 남은 사람은 45명 외에 다른 경우는 없다.
2회차 경우의 수
2회차에서 역시 1~9명이 탈락해서 3의 배수가 남아야 한다.
가능한 남는 사람의 수는 36~44이다.
이 중 3의 배수는 36, 39, 42이다.
36이 되려면 9명이 탈락하고
39가 되려면 6명이 탈락하고
42가 되려면 3명이 탈락해야 한다.
표를 보면 2회차의 탈락자는 홀수여야 하므로 경우의 수가 둘로 나뉜다.
1) 9명이 탈락해 36명이 남은 경우와
2) 3명이 탈락해 42명이 남은 경우다.
1) 9명이 탈락해 36명이 남은 경우
3회차의 탈락자는 14명으로 정해져 있으므로 생존자는 22명이 된다.
이 경우 조건2에 의해 3회차에서 즉시 게임이 끝나므로 조건 5에 위배된다.
따라서 9명이 탈락해 36명이 남을 수는 없다.
2) 3명이 탈락해 42명이 남은 경우
위의 경우가 틀렸으니 이 경우가 정답이다.
2회차에서는 3명이 탈락해 42명이 남고
3회차에서는 14명이 탈락해 생존자는 28명이 된다.
이때 28은 3의 배수가 아니므로 조건에 위배되지 않는다.
4회차 경우의 수
4회차에서는 원래는 1~9명이 탈락해 3의 배수가 아니게 사람이 남아야 한다.
단, 4회차에서 게임이 끝나면 안 되므로 탈락자의 숫자가 조절된다. (조건5)
4회차에서 게임이 끝나지 않기 위해서는 생존자가 25명 이상이 돼야 하고 (조건2)
그러려면 탈락할 수 있는 사람의 수는 1~3명으로 줄어든다.
표를 보면 4회차의 탈락자 수는 짝수이므로 탈락하는 사람의 수는 2로 고정된다.
따라서 4회차의 탈락자는 2명, 남은 사람은 26명이다.
5회차 경우의 수
마지막 5회차에서는 1~9명이 탈락해 3의 배수가 아니게 사람이 남아야 한다.
단, 여기서는 게임이 반드시 끝나야 하므로 2명 이상이 탈락해야 한다.
그래야 생존자가 25 미만이 돼 조건2와 조건5가 충족된다.
탈락자의 수는 짝수이므로 가능한 탈락자의 수는 2, 4, 6, 8이다.
지금까지 탈락자의 수는 모두 달랐으므로(조건 7)
2와 4는 탈락자의 수가 될 수 없다.
따라서 가능한 탈락자의 수는 6, 8이다.
1) 6명이 탈락할 경우 20명이 남아 3의 배수가 아니다.
2) 8명이 탈락할 경우 18명이 남아 3의 배수가 되므로 조건에 위배된다.
따라서 5회차에서는 6명이 탈락해 20명이 남는다.
처음으로 돌아가서 문제의 답을 낸다면
2회차 탈락자와 5회차 탈락자의 합을 묻고 있으므로
3+6=9로 3번이 답이다.
나는 7번 조건인 탈락자 수가 모두 다르다는 걸 까먹어서
5회차 탈락자를 4명으로 계산하고 3+4=7로 2번 찍고 틀렸다.
PSAT은 조건을 절대 빼먹으면 안된다.
그지 같은 시험
앞에서도 정답률 사진을 올렸지만
해당 문제는 3월 9일 오후 2시 기준으로 정답률 41.91%의 상당히 어려운 문제였다.
상황판단 영역에서 이보다 낮은 정답률을 기록한 문제는 하나밖에 없으므로
이번 시험 상황판단 영역에서 두 번째로 어려운 문제라 볼 수 있다.
오답 비율도 균등한 걸 보면 못 풀고 찍은 사람도 많은 걸로 보인다.
지금까지 문제를 본 사람은 "뭐야, 쉬운데?"라고 생각할 수 있다.
쉬운 거 맞다 ㅇㅇ.
시간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풀 수 있는 것이 PSAT 문제다.
그리고 내가 멍청해서 대입해서 푼거지, 더 간단하게 풀 수도 있을 거다.
그러니까 이 글을 보고 할만하다고 느낀 당신,
당장 5급 공채를 준비할 수 있도록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