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끓일 때 수돗물 vs 생수...국민 66%가 "이것" 선택했다

2025-03-09 14:00
14
0
0
0
본문

환경부는 지난 5일 2024년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는 환경부가 한국상하수도협회에 의뢰해 전국 7만2460가구를 방문해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우선 집에서 어떤 물을 마시는지 물었을 때(중복응답 허용) 조사 가구의 37.9%가 “수돗물을 그대로 또는 끓여서 마신다”라고 밝혔다. 수돗물 음용률은 첫 조사이자 직전 조사였던 2021년 조사 때(36.0%)보다 1.9%포인트 상승했다.
정수기 물을 마신다는 가구는 전체의 53.6%로 가장 높았다. 먹는 샘물을 사서 마신다는 가구는 34.3%였다. 정수기 물과 먹는 샘물을 마신다는 비율 역시 직전 조사때 보다 각각 4.2%포인트와 1.4%포인트 올랐다. 이번 조사는 중복응답이 허용돼 모든 선택지 응답률이 상승할 수 있다.
밥과 음식을 조리할 때는 수돗물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끓여서 사용한다는 가구가 전체의 66.0%로 가장 많았다. 정수기 물을 사용한다는 가구는 40.8%, 먹는 샘물을 쓴다는 가구는 13.0%였다
또 차나 커피를 끓일 때는 수돗물을 사용한다는 가구가 47.5%, 정수기 물을 사용한다는 가구가 48.9%, 먹는 샘물을 쓴다는 가구가 19.4%였다.
이번 조사에서 수돗물을 마시지 않는다는 응답자에게 이유를 물어보니 ‘낡은 수도관의 불순물이 걱정된다’는 답변이 34.3%로 가장 많았다. 이어 ‘건강에 좋지 않을 것 같아서’(21.5%), ‘염소 냄새’(13.2%) 순이었다.
수돗물 만족도는 58.2%(약간 만족 51.4%·매우 만족 6.8%)였고 만족도를 더 높이려면 ‘상수원 수질관리’(27.7%), ‘지방자치단체의 낡은 수도관 교체·세척’(22.8%)이 선행돼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수돗물 만족도 문항에 ‘보통’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36.6%, ‘불만족’이라고 한 응답자는 5.2%(약간 불만족 5.1%·매우 불만족 0.1%)였다.
수돗물이 편리하다고 생각하는지 물었을 때 ‘매우 그렇다’ 또는 ‘그런 편이다’라고 답한 응답자는 80.1%였다.
반면 수돗물이 ‘건강에 도움이 되는지’와 ‘맛이 좋은지’를 물었을 땐 긍정적인 답변율이 47.2%와 36.3%에 그쳤다.
한편 이번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는 오는 6일부터 환경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요약
• 2024년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 결과, 밥과 음식 조리 시 수돗물을 사용한다는 응답이 66%로 가장 높았다.
• 수돗물을 마시지 않는 이유로는 낡은 수도관의 불순물 걱정(34.3%), 건강에 대한 우려(21.5%), 염소 냄새(13.2%)가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 수돗물 만족도는 58.2%로 나타났으며,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상수원 수질 관리와 낡은 수도관 교체·세척이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출처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