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러 전쟁에서 보병이 갈려나간 이유
7시간 21분전
22
0
0
0
본문
과거 보병의 역할은 전선돌파, 점령, 진지구축
등등 주력으로 담당했지만 현대전에 들어 보병이
갈려나가면서 전술의 큰변화가 발생했음
대체 현대전에서 보병을 무수히 희생하게 만들었냐면
대표적인 ?가지 이유가 있음.
드론
드론을 통해 실시간으로 영상이 전달되면서 드론을 통한
전술지휘 및 실시간 폭격이 가능해지면서 사실상
전장이 투명화가 된것
이는 보병의 생존률 저하에 기여하게 됨
정밀타격
과거에는 포탄 한 발이 빗나가고, 폭격이 몇 백 미터 오차가 났었고
이런게 일반적이었지만, 지금은 1~2m 단위의 정밀 타격이 가능해짐.
결국 사격 후 이탈이나 건물 간 이동같은 전술이 의미를 가지기
어렵고 위치가 찍히는순간 몇분안에 폭격으로 이어지게 됨
건물 내부 엄폐의 실효성 저하
과거 시가전은 ‘건물 내부의 은폐’가 유효했었음
지금은 상공 드론 + 열화상 조준 및 식별이 가능해졌고
건물로 엄폐하면 정찰드론이 위치를 특정하고,
상공에서 자폭드론 또는 포병의 폭격이 시작되버림.
군사전문가들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건물 내 방어병력의 평균 생존시간이
전투 개시 후 15~30분을 넘기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옴.
정리
기술적 감시망과 정밀 타격체계가 전장을 완전히
투명하게 만들어버렸기 때문이고
보병, 분대 전술이나 은폐로 극복할 수 있는 수준을 벗어난 상태라
감시-분석-타격의 자동화된 네트워크 전장터에
들어가는 순간부터 생존이 불확실해진 것이라 볼 수 있음.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