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월즈 8강 TMI

본문

vs C9 11/0/4
vs 프나틱 4/0/6
vs C9 10/0/3
vs EDG 6/0/9
vs RNG 1세트 3/0/6
vs RNG 2세트 7/0/4
4. T1과 페이커는 RNG전 승리로 참가하는 모든 대회에서 최소 4강에 진출한다는 기록이 이어졌다.
5. LCK 팀이 LPL팀을 3대0 승리를 거둔 마지막 경기는 2013 월즈 결승 SKT T1 vs 로얄 클럽 전이다.
LCK와 LPL의 마지막 3대0 경기는 2014 월즈 8강 나진 실드 vs OMG 전(OMG 3대0 승리)
6. DRX 4강 진출로 2020 DRX 주전 멤버 전원 4강 진출에 성공했다.
또한 도란, 표식, 쵸비는 첫 4강 진출에 성공했다.
7. 또한 씨맥이 육성했던 카나비(징동), 케리아(T1), 도란, 쵸비(젠지), 표식(DRX)이 4강에 진출하여 최소 한 명은 우승 트로피를 들 수 있게 되었다.
8. 징동이 4강에 진출한 유일한 LPL팀이 되면서 작년과 동일하게 LPL 1시드와 3LCK팀의 4강 대진이 완성되었다.
또한 LCK LPL 모두 2019년 이후 4년 연속 1시드 팀이 4강 진출에 성공하게 되었다.
2019 - LCK SKT T1, LPL FPX
2020 - LCK 담원 게이밍, LPL TES
2021 - LCK 담원 기아, LPL EDG
2022 - LCK 젠지, LPL JDG
9. 캐니언이 케인을 픽하면서 이번 대회 픽된 챔피언 수는 총 108개이다.
그 중엔 가렌, 티모, 나서스도 있다.
가렌 - 플레이 인 스테이지 RNG vs IW(사용 선수: IW Starscreen)
티모 - 플레이 인 스테이지 RNG vs ISU(사용 선수: ISU ADD)
나서스 - 그룹 스테이지 DRX vs RGE(사용 선수: RGE Trymbi)
10. T1이 징동을 만나게 되면서 징동은 로얄 클럽, RNG에 이어 T1 월즈 역사상 다전제에서 만나는 세 번째 LPL팀이 되었다.
다만 로얄 클럽을 RNG 전신으로 인정할 경우 징동은 T1이 다전제에서 만나는 두 번째 LPL팀이 된다.
11. 벵기, 스코어, 쏭, 옴므는 감독 커리어로는 처음으로 4강에 진출하게 된다.
다만 쏭, 옴므는 코치 시절 4강에 진출한 경험이 있다.
쏭 - 2015 쿠 타이거즈, 2016 락스 타이거즈
옴므 - 2014 삼성 갤럭시 화이트
12. 코인 토스 결과 T1, 젠지가 진영선택권을 가지게 된다.
4강전은 T1 vs 징동이 10/30, 젠지 vs DRX가 10/31에 펼쳐진다.
댓글목록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