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전의 부담감” 삼성은 WC 부진 후 ‘반등’→SSG도 시작은 ‘고생’…그래서 2차전은? [준PO2]

본문
WC1 삼성과 준PO1 SSG 공통점
삼성, 애먹은 타선→살아난 감각
SSG도 애부터 먹었다, 2차전은 어떨까
랜더스필드 ‘화력전’ 될 수 있다

[스포츠서울 | 문학=김동영 기자] 뭐든 ‘처음’이 힘든 법이다. 와일드카드(WC) 1차전과 준플레이오프(준PO) 1차전. 삼성과 SSG가 묘한 공통점을 겪었다. 그리고 2차전이다. 여기서도 같을까. 아니면 다를까.
SSG와 삼성은 9일부터 2025 KBO 준플레이오프를 시작했다. 1차전은 삼성이 5-2로 웃었다. 선발 최원태가 미친 호투를 뽐냈고, 타선도 힘을 냈다. 그렇게 플레이오프(PO) 진출 확률 85.3%를 잡았다.

SSG는 뭔가 ‘얼어’ 있었다. 첫 경기가 주는 부담감이 작용한 모양새. 삼성 최원태가 잘 던진 것도 있지만, 타선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니 어렵다.
SSG 관계자는 “첫 경기라 분명 긴장했을 것이다. 젊은 선수들이 또 많다. 그리고 선수들이 ABS에 예민하게 반응하지 않았나 싶다. 고개를 갸웃하는 모습이 보였다. 점수를 먼저 주니 더 소극적으로 됐다. 그러면서 꼬였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1차전에서 SSG 타선은 6안타 기록했다. 고명준이 투런포를 치며 2점 뽑았다. 나머지 안타는 5개다. 정규시즌 평균 안타가 8.7개다. 확실히 1차전은 좋지 못했다.

떠오르는 무언가가 있다. WC 당시 삼성 타선이다. 1차전에서 5안타 기록하며 1-4로 졌다. 이성규 솔로포로 만든 1점이 전부다. 이를 빼면 합계 4안타. 준PO 1차전 SSG와 겹친다.
삼성 이진영 타격코치는 “정규시즌 막판 타격감이 좋았다. 살짝 떨어진 것 같다. 안 좋아 보이는 선수가 몇몇 있다. 그래도 두 경기 치르고 준플레이오프에 왔다. 집중력이 돌아왔다고 보고 있다”고 짚었다.
이어 “가을야구에서는 상대 투수가 좋은 공 안 준다. 정규시즌과 다르다. 더 준비해서 온다. 이쪽도 그에 맞춰서 가야 한다. 그만큼 분석팀과 함께 준비했고, 1차전에서 화이트 공략도 할 수 있었지 않았나 싶다”고 덧붙였다.

사실 WC 2차전도 좋았던 것은 아니다. 단 1안타에 그쳤다. 1회말 볼넷을 잇달아 뽑아내며 2점 뽑았다. 8회말 희생플라이로 추가점. 활발한 공격은 아니다. 대신 ‘이겼다’는 점이 중요하다. 점수는 안타와 적시타로만 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SSG에 대입하면 또 어떻게 될까. 10일 열리기로 했던 경기가 비로 취소됐다. 11일은 비가 오지 않았고, 선수단은 야외에서 배팅도 쳤다.

SSG 최지훈은 “내가 안에서 치는 것은 선호하지 않는다. 밖에서 치니까 아무래도 좋다”며 웃었다. 1차전 홈런의 주인공 고명준 방망이도 가볍게 돌아가는 모습이다.
1차전이 정신없이 지나갔다면, 2차전은 또 다를 수 있다. 감을 찾은 삼성 타선과 감을 찾아가는 SSG 방망이. 타자친화적인 랜더스필드에서 화력전이 펼쳐질 수도 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