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부는 어린 심판 양성의 장” 심판위원장 ‘공감제로’ 해명, 불신만 키웠다 [SS포커스]

본문


[스포츠서울 | 김용일 기자] K리그 내 오심이 난무하고, 최근 한 베테랑 심판이 과거 승부조작과 관련해 경찰 조사를 받은 것까지 밝혀지면서 다시 국내 심판진에 대한 불신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런 분위기에서 ‘심판 수장’인 문진희 대한축구협회(KFA) 심판위원장이 최근 한 유튜브 방송에 출연해 현장 구성원의 공감을 얻지 못할 발언을 쏟아냈다가 뭇매를 맞고 있다.
문 위원장은 이 방송에서 “K리그2(2부)에 있는 심판은 주심 기준 10명 정도는 미래 국제 심판을 만들기 위해 들어온 심판”이라며 “연령이 어리고 경험이 부족하다. 경험이 적다 보니 심리적 압박감에서 헤어 나오지 못해 오심이 많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각 구단 감독, 팬에겐 죄송한 일이지만 심판은 단계적으로 성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 K리그2는 유독 판정 수준이 떨어져 지도자, 선수는 물론 구단에서도 불만 목소리가 높다. 이런 시선과 관련해 문 위원장은 사실상 K리그2를 프로 심판 양성의 무대로 못 박은 것이다. 한 구단 사무국장은 “모든 팀이 한 시즌, 한 경기를 준비하기 위해 모든 것을 쏟는다. 1부 승격 전쟁터에서 살아남기 위해 프로페셔널하게 살아가는 데 승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심판을 키우는 무대라고 위원장이 언급하는 건 매우 부적절한 처사”라고 비판했다.
또다른 구단 관계자는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로 해석할 수 있지만 프로스포츠의 구성과 성공 요건에 심판만 존재하는 게 아니다. 구단과 선수, 지도자, 미디어, 팬 등이 고르게 발전해야 하는것 아니냐”며 “문 위원장의 발언은 리그 구성원을 존중하지 않는 것으로 보여 안팎에서 비난하는 분이 많다”고 했다.
또 문 위원장은 이 방송에서 언급된 주요 경기의 ‘같은 장면 다른 판정’과 관련해 “잘못된 결정이었다”며 심판 판정 점수 체계 등을 통해 나름대로 상벌을 매기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심판 비방 금지 조항 등 폐쇄적인 정책에 대한 재검토 견해에 대해서는 “(오심 등이) 언론에 노출이 될 경우 해당 심판이 다음 경기에 들어왔을 때 피로감, 팬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가 있다. 제대로 양성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 역시 심판의 권위의식에서 비롯한 발언으로 해석하는 이들이 있다. K리그1에서 활동하는 한 사령탑은 “문 위원장 인터뷰 막바지를 보니 ‘심판을 존중하고 지켜봐주셨으면 한다. (오심으로) 출장 정지 징계를 받아 3주간 쉴 때 쓸쓸함이 있다’고 말씀하신 것을 봤다. 정말 누구를 위한 리그인가 생각하게 되더라”며 “오심으로 상처를 입은 구단, 지도자, 선수는 누가 책임지는 것이냐”고 말했다.
다수는 문 위원장이 해명과 소통을 위해 공개 석상에 나온 건 반가운 일이지만 ‘공감 제로’ 발언을 한 것에 안타깝다는 반응이다. 논란이 지속하는 판정 사각지대 ‘그레이 존’과 관련한 대책 등 발전적 비전을 언급하기를 바란 이들이 많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