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무사(MUSA) 시흥’ 장길수, 완벽한 8팩 복근으로 피지크 부문 압도!

본문
비치바디의 이상형, 심미적 근육미와 낮은 체지방률로 그랑프리 수상

[스포츠서울 글·사진 | 용인 = 이주상 기자] 19일 경기도 용인시에 있는 루터대학교 체육관에서 ‘2025 무사(MUSA) 시흥 대회’가 열렸다.
피지크 에이지 부문에서 그랑프리를 차지한 장길수가 우승 트로피 옆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검은색과 빨간색의 그라데이션 보드숏을 착용하고 무대에 오른 장길수는, 과하지 않으면서도 완벽하게 조각된 상체 근육으로 심사위원과 관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장길수의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극도로 절제된 복근이다.
일반적인 6팩을 넘어 8팩에 가까운 복직근 분리도를 보여주며, 복사근(obliques)까지 뚜렷하게 드러나 체지방률 4-5%대로 추정됐다.
특히 상복부에서 하복부로 이어지는 복근의 균형이 완벽하며, 갈비뼈를 따라 전거근(serratus anterior)이 손가락 모양으로 선명하게 보이는 것은 피지크 부문에서 드물게 볼 수 있는 극한의 컨디셔닝이다.
피지크 부문은 보디빌딩이나 클래식 피지크와 달리 ‘해변에서 가장 멋진 몸’을 추구한다.
과도한 근육량보다는 심미적 비율, 적당한 볼륨, 낮은 체지방률이 핵심이다.
장길수는 이러한 기준을 완벽하게 충족시켰다.
어깨 삼각근은 둥글고 풍성하게 발달했으면서도 보디빌더처럼 과하지 않으며, 대흉근은 적당한 두께와 넓이를 유지해 V라인을 극대화했다.
상완이두근과 삼두근 역시 선명한 분리도를 자랑하면서도 자연스러운 크기를 유지해, 옷을 입었을 때도 멋진 실루엣을 연상시킨다.
피지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어깨 대 허리 비율이다.
장길수는 넓게 발달한 삼각근과 극도로 좁아진 허리의 대비를 통해 극적인 V자 실루엣을 완성했다.
목에서 어깨로 이어지는 승모근 라인도 자연스러우며, 쇄골 부위의 혈관까지 도드라져 완벽한 수분 조절을 거쳤음을 보여줬다.
피지크 부문에서는 근육만큼 무대 매너와 표정 관리도 중요하다.
장길수는 자신감 넘치는 미소와 함께 양손을 허리에 올린 클래식 포즈를 취하며, 상체의 입체감을 극대화했다.
짧은 스포츠 헤어스타일과 건강한 태닝은 전체적인 비주얼 완성도를 높이며, 허벅지에 새겨진 타투는 개성을 더했다.
한 피트니스 전문가는 “피지크는 일반인들이 가장 선망하는 몸매를 추구하는 부문”이라며 “과도한 근육이 아닌 심미성과 비율, 낮은 체지방률이 핵심인데, 장길수는 모든 요소를 완벽하게 갖췄다”고 평가했다.
피지크 부문은 특히 젊은 층에게 인기가 높다.
실용적이고 심미적인 체격을 추구하는 현대 피트니스 트렌드를 반영하는 종목이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