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L 연고선수 및 장신선수, 2025 FIBA U16 아시아컵 참가…해외연수 프로젝트 출신도 포함 > 스포츠 소식

본문 바로가기

title
스포츠 소식

path

  • Home
  • 스포츠 소식
  • 스포츠 소식
  • subtitle
    스포츠 소식

    sidemenu
    y

    registed
    y

    cate1
    016

    cate2
    001

    KBL 연고선수 및 장신선수, 2025 FIBA U16 아시아컵 참가…해외연수 프로젝트 출신도 포함

    profile_image
    선심
    17시간 57분전 1 0 0 0

    본문

    KBL 연고선수 4명, 장신 지원선수 3명

    연고선수 출신 에디 다니엘-김건하 차기시즌 프로에서 활약

    농구 발전 위해 지속 투자 계획

    news-p.v1.20250827.d63c5fbbd03242c3b2fb7b27dcdd01b5_P1.jpg

    [스포츠서울 | 김동영 기자] KBL 연고선수와 장신선수들이 2025 FIBA U16 아시아컵에 참가한다.

    KBL 연고선수인 박범윤(용산고·삼성) 김태영(광신중·SK), 김준영(용산중·KCC), 이승민(용산중·KCC)과 KBL 장신선수 신유범(경복고), 강태영(임호중), 김준표(휘문중)이 오는 8월31일부터 9월7일까지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열리는 2025 FIBA U16 아시아컵에 나선다.

    또한 ‘2025 DB손해보험과 함께하는 KBL 유망선수 해외연수 프로젝트’에 참가한 선수 중 박범윤, 신유범, 박태준(용산고), 민승빈(삼일고)도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KBL 연고선수는 각 구단 산하 유소년 클럽에 등록된 만 14세 이하 선수를 대상으로 매년 최대 2명까지 지명 가능하다. 고등학교 졸업 후 신인선수 드래프트를 거치지 않고 해당 구단으로 입단할 수 있다.

    이 제도를 통해 에디 다니엘(용산고·SK)과 김건하(무룡고·현대모비스)가 2025~2026시즌부터 프로에서 활약할 예정이다.

    최초 사례다. 이들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더 많은 선수가 일찍 프로로 향할 수도 있다. 가능성이 있기에 데려갔다고 봐야 한다. KBL에 고졸로 좋은 활약을 보인 선수가 없지 않기에 기대도 걸 수 있다.

    KBL 장신선수는 만 10세부터 만 15세를 대상으로 일정 신장 기준을 통과한 후 대한민국농구협회에 선수 등록 시 선발된다. 장신 선수로 선발될 경우 훈련용품 비용 지원 등 경제적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신체조건이 중요한 농구이기에 KBL이 꽤 오랜 시간 공을 들이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KBL 유망선수 해외연수 프로젝트는 기량 향상과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엘리트 선수(중학교 3학년)를 선발해 해외에서 농구 트레이닝을 받는다.

    KBL은 농구 유소년 육성과 저변 확대를 위해 장신 선수 발굴 프로그램, 유망선수 해외연수 프로젝트 등 다양한 유소년 사업을 지속해 진행할 계획이다.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