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구계가 필요로 하는 “유소년 저변 확대에 관심과 신경을”[새 정부에 바란다]

본문

[스포츠서울 | 박준범기자] 배구계는 이재명 대통령 체제로 출범한 새 정부에 ‘투자’와 ‘저변 확대’를 바랐다.
프로배구연맹(KOVO)은 지난해 창립 20주년을 맞았다. 그러나 한국 배구가 당면한 과제도 즐비하다. 프로 배구 흥행의 중심에 선 ‘여제’ 김연경의 은퇴로 향후 새로운 비전이 필요하다.
국제 경쟁력 역시 고민이다. 남녀 배구 대표팀 모두 국제대회 성적이 저조하다. 올림픽 출전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배구계에서는 ‘투자’와 유소년 ‘저변’ 확대 목소리가 크다. 장충체육관, 대전충무체육관 등 일부 경기장은 리모델링을 거쳤으나 내부는 낙후돼 있다.
한 배구계 관계자는 “비용의 문제인데 경기장 시설 확충이 필요하다. 경기장을 장기 임대해 구단이 수익을 내고, 구단을 운영하는 구조가 현실에서는 쉽지 않다”라며 “지자체나 정부의 지원을 통해 개선을 간절히 바라는 이가 많다. 정부 차원에서도 국민의 체력 증진을 위해 투자가 이뤄진다고 생각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강조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프로 스포츠 관점에서 바라봤다. 그는 “프로배구는 구단이 적자를 보는 구조인데 단순히 모기업의 홍보 효과로만 여겨서는 안 된다. 프로답게 시장에서 자유롭게 팀이 팔리고 생기고 없어지는 구조가 됐으면 좋겠다. 자율성 없이 억지로 구단을 유지하는 건 낡은 행태다. 그래야 투자도 활발하게 이뤄진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소년 발굴과 저변을 구축하는 건 배구계 전체의 숙제다. 이를 위해 KOVO는 꾸준히 도입 목소리가 나온 2군 리그를 2026~2027시즌부터 추진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한 관계자는 “최근 들어 유소년이 더 줄었다는 얘기가 나온다. 그만큼 다른 스포츠를 향한 관심이 커졌다. 배구는 신체적인 조건이 전제돼야 해서 진입 장벽이 높다. 결국 토대가 마련돼야 유소년이 늘어날 것”이라고 했다.
이밖에 “프로배구 산업화에 중요한 건 저변인데 선수와 팬이 두 축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체육계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초중고에서 종목을 강제해서라도 체육 교육이 필요하다. 잘하면 엘리트 선수가 되고 그렇지 않더라도 생활체육을 통해 배구 팬이 될 교육과정이 있으면 한다. 유소년 저변 확대를 위한 제도적인 부분을 새 정부에서 신경 써주면 좋을 것 같다”는 견해도 나왔다.
KOVO 조원태 총재는 새 정권 출범 직후 “프로배구는 그동안 정부의 지원과 관심을 바탕으로 여러 사업을 통해 꾸준히 발전해왔다”라며 “새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을 통해 한국 배구가 국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하고, 뿌리가 되는 엘리트 체육 환경에 맞는 교육 정책으로 선수들이 마음껏 기량을 펼칠 기반을 만들어 주시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