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노동청도 ‘가해 인정’…KPGA 추가 징계 ‘시간끌기’, 피해자는 계속 운다 [SS이슈] > 스포츠 소식

본문 바로가기

title
스포츠 소식

path

  • Home
  • 스포츠 소식
  • 스포츠 소식
  • subtitle
    스포츠 소식

    sidemenu
    y

    registed
    y

    cate1
    016

    cate2
    001

    경찰·노동청도 ‘가해 인정’…KPGA 추가 징계 ‘시간끌기’, 피해자는 계속 운다 [SS이슈]

    profile_image
    선심
    2025-07-02 18:19 11 0 0 0

    본문

    경찰·노동청·스포츠윤리센터 ‘가해 인정’

    피해 직원 “2차 가해에 또 다른 피해 발생” 호소

    KPGA “이미 무기한 정직, 이사회서 추가 징계 논의할 것”

    news-p.v1.20241229.3f78670dcce2474b8ebc1f54a9d1a0fb_P1.jpg

    [스포츠서울 | 김민규 기자] 한국프로골프협회(KPGA) 고위 임원의 장기간에 걸친 가혹행위에 따른 피해 직원들의 고통이 7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경찰과 노동청, 스포츠윤리센터 등 국가기관들은 일제히 해당 임원 A의 ‘가해 행위’를 인정했지만, KPGA 내부에서는 여전히 ‘추가 징계’를 미루고 있는 모양새다. 일부 이사진은 오히려 A의 ‘업무 복귀’를 주장하고 나서 논란은 더욱 커지고 있다.

    A로부터 상습적 폭언, 욕설을 당한 B를 포함 다수의 피해자들은 “2차 가해까지 당하고 있다”라며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그러나 KPGA는 “이미 지난해 12월 (A에 대해)무기한 정직 처분을 내린 만큼 ‘징계 지연’이란 비판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이번 사건의 핵심은 KPGA 임원 A의 상습적 폭언, 욕설, 모욕, 신변 위협, 연차 강제, 퇴사 압박 등 장기간 이어진 ‘직장 내 괴롭힘’이다.

    분당경찰서는 A에 대해 ‘강요죄’와 ‘모욕죄’를 적용해 사건을 검찰에 송치했고, 고용노동부 성남지청은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위반으로 500만원 과태료 처분을 내렸다. 스포츠윤리센터 역시 “징계가 필요하다”라고 KPGA에 공식 통보했다.

    news-p.v1.20250123.fecd58e20b484c2d97550e796d7e464d_P1.jpg

    그러나 KPGA는 아직도 추가 징계 여부를 이사회에서 결정하지 못한 상태다. 지난 3월과 6월, 두 차례 이사회에서도 일부 이사진의 반대로 징계안이 무산됐다. 일부 임원은 ‘가해자 A의 복귀’까지 주장했다.

    추가 징계가 늦어지면서 또 다른 피해자도 생겨났다. 지난달에는 C가 노동청과 스포츠윤리센터에 A를 추가 신고했다. C 역시 A로부터 욕설과 퇴사 압박, 부당 업무지시 등을 반복적으로 당했다고 주장했다.

    피해자들은 이사회 과정에서 일부 임원과 회원들로부터 “너무 과하다”, “합의로 끝내자”, “내부 총질 그만해라” 등 2차 가해성 발언도 들었다고 토로했다.

    KPGA 노조 관계자는 “가해자와 개인적 친분이 있는 일부 회원들의 압박으로 피해자들이 오히려 ‘협회 분열 세력’으로 몰리고 있다”고 호소했다.

    news-p.v1.20241219.6a864302768f46dca8acdac8d51d6704_P1.jpg

    이에 대해 KPGA 측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KPGA 관계자는 “임원 A는 이미 지난해 12월부터 무기한 무급 정직 상태”라며 “이는 중징계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직원들의 징계위원회가 진행 중이지만 이건 임원 A와는 전혀 관계없는 별건”이라며 “경위서나 시말서를 제출했다고 해서 모두 징계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news-p.v1.20240717.80e7ddd06eca41e3ab09a29caf5a2d02_P1.jpg

    현재 KPGA는 스포츠윤리센터로부터 받은 ‘90일 이내 징계 요구’ 통보 시한도 지키지 못하고 있다. 만약 추가 징계를 하지 않을 경우, 정부 지원금 중단 등 법적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다.

    피해자들은 “추가 피해자가 계속 나오고 있다. 협회가 진정성 있는 후속 조치에 나서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KPGA 노조는 “협회의 신뢰를 회복하고 건강한 근무환경 조성을 위해 고위임원 A에 대한 명확한 징계와 함께 가혹행위 사건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즉각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라며 “협회의 높은 도덕성과 윤리성을 증명하기 위해 단호하고 책임 있는 조치가 필수”라고 사태 해결을 촉구했다.

    KPGA의 이사회 결정이 피해자 보호냐, 가해자 비호냐의 중대한 기로에 서게 됐다. 이사회가 누구의 손을 들어줄 지 관심이 쏠린다.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