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폭로 “KPGA 김원섭 회장 3주 유럽 출장에 6600만원, 총회 승인 때는 축소 보고” > 스포츠 소식

본문 바로가기

title
스포츠 소식

path

  • Home
  • 스포츠 소식
  • 스포츠 소식
  • subtitle
    스포츠 소식

    sidemenu
    y

    registed
    y

    cate1
    016

    cate2
    001

    연이은 폭로 “KPGA 김원섭 회장 3주 유럽 출장에 6600만원, 총회 승인 때는 축소 보고”

    profile_image
    선심
    2025-08-19 19:01 18 0 0 0

    본문

    KPGA노조 3차 기자회견 “9일간 렌트비만 2700만원”

    “주 52시간 근무제 위반 임금 체불액만 6~7000만원”

    “대회 유치·후원계약 실패 경영상 책임 직원에게 물어”

    KPGA “해외출장 이사회에 정상보고, 부당징계 아냐”

    news-p.v1.20250819.4811c055a47246e99ada44a23357baed_P1.jpg

    [스포츠서울 | 장강훈 기자] 점입가경이다. 직장내 괴롭힘 폭로와 부당해고로 촉발된 노사갈등이 폭로전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급기야 대량 임금체불과 호화 해외출장 의혹까지 제기돼 이른바 ‘끝장전’을 예고했다.

    한국프로골프협회(KPGA) 노동조합은 19일 서울 서대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당해고를 호소하는 세 명의 전 직원의 입장을 공개했다. 스포츠서울이 보도(8월18일자 10면 참조)한 것처럼 KPGA 김원섭 회장이 밝힌 ‘해고 당위성에 관한 입장’을 반박하는 내용이 주를 이뤘다.

    news-p.v1.20250817.8aaac36352414c2ea13cbcbb32d10e48_P1.jpg

    이 가운데 눈길을 끈 대목은 지난해 7월 디오픈부터 8월 파리올림픽으로 이어지는 3주에 걸친 김 회장의 출장비 명목. 노조가 공개한 자료에는 ‘지난해 7월15일부터 8월6일까지 영국과 프랑스를 다녀온 비용이 약 6600만원에 달했다. 주52시간 근무제 위반으로 발생한 임금체불 규모가 6000~7000만원 규모인데, 회장은 3주 만에 해외출장비용으로 사용했다’고 담겨있다.

    더 놀라운 사실은 올림픽 기간 파리 체류 과정에 차량 렌트비만 2700여 만원에 달한다는 점이다. 독일 브랜드인 승합차 한 대와 기사 채용 및 부대시설을 합한 액수다. 올림픽 특수라는 점을 고려해도 터무니없이 많은 비용을 지출한 것으로 보인다. 스포츠서울이 입수한 당시 차량 렌트 관련 서류를 보면, 메르세데스 V클래스 1대를 하루 1850달러(약 250만원·1달러=1330원 기준)에 달했다.

    news-p.v1.20250817.2afbc51069f742678b2c61d248c50d9f_P1.jpg

    협회 한 회원은 “협회 예산은 총회에서 승인을 받아야 집행할 수 있다. 김 회장은 역대 회장들이 참석하던 디오픈 대신 파리올림픽만 참관하겠다고 밝혀 당시 해외출장비를 2200만원 정도로 품의해 승인받은 것으로 기억한다”고 귀띔했다. 또다른 협회 직원은 “정확한 시점을 기억나지 않지만, 총회 승인 이후 디오픈에 참석하겠다고 입장을 바꿨다”고 돌아봤다. 근거 자료 없이 기억에 의존한 것이므로 왜곡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지만, 잦은 해외출장 탓에 규모를 줄여 총회 승인을 끌어낸 것으로 볼 수 있는 대목이다.

    KPGA 이준우 사무처장은 노조의 주장에 “회장이 유럽출장에서 다녀온 뒤 입사해 당시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지는 못했다. 최대한 빠르게 사실관계를 파악할 것”이라면서도 “유럽출장에서 돌아온 후 이사회에서 결과보고할 때는 디오픈에 관한 내용도 포함됐다. 총회 승인을 얻기 위해 출장규모를 축소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이 처장은 ‘초과 집행한 예산을 총회에 사후 보고해 승인 받았는가’에 관해서는 “확인이 필요하다”며 즉답을 피했다.

    news-p.v1.20250819.17448358fb4340228c91f80732a05bb0_P1.jpg

    노조 측은 이달 초 공개한 녹취록에 명예퇴직 대상자를 상대로 한 “몇 개 대회가 없어질 것으로 예상해 회사도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내용을 재차 공개하며 “해고 사태는 단순한 인사 문제가 아니라 협회장의 경영상 과실을 감추기 위한 책임 전가”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회장 취임 후 대회 유치에 잇따라 고배를 마셨고, 후원사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데 이 책임을 직원들에게 돌리는 것”이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대화로 충분히 풀어낼 수 있는 문제가 걷잡을 수 없는 폭로전 양상으로 전개되면서 KPGA에 대한 신뢰는 점점 무너지고 있다. 노조는 “우리가 원하는 건 ‘부당징계를 철회하고, 직원들을 원상복귀시키는 것 하나 뿐”이라고 읍소했다.

    news-p.v1.20250730.c23a2a3fcf694ef590be80bc213bc4d2_P1.jpg

    해고자들이 세 번째 기자회견을 한 시간에 KPGA 김 회장은 회원게시판에 ‘부당한 징계가 아니었고, 오히려 노조가 문서를 외부에 무단배포해 징계 과정이 왜곡되는 단초를 제공했다. 어떠한 경우에도 감정적 보복이나 개인을 겨냥한 징계를 하지 않았고, 허위사실 유포 및 명예훼손에 대해 끝까지 책임을 묻겠다’는 장문의 입장문을 올렸다.

    세 명의 해고자가 모두 직장내 괴롭힘을 외부에 알리고 피해방지를 촉구한 공통점이 있다는 게 공교롭다.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스포츠 소식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