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침체가 기회” 컴투스플랫폼 ‘하이브’, 북미·유럽 진출 가속화 [SS포커스]

본문

[스포츠서울 | 쾰른=김민규 기자] 컴투스플랫폼이 글로벌 게임 백엔드 서비스(GBaaS) ‘하이브(Hive)’를 앞세워 북미·유럽 시장 진출을 가속화한다. 글로벌 게임 산업이 투자 위축과 신작 둔화로 침체기를 겪는 상황이지만, 오히려 이 시점이 ‘하이브’에겐 기회라는 판단이다.
독일 쾰른에서 열린 ‘게임스컴 2025’ 현장에서 만난 김종문 컴투스홀딩스 플랫폼사업총괄 상무는 “투자가 줄어드는 시점일수록 운영비 절감과 수익 최적화가 가능한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다”라며 “유럽 현지 파트너사들의 반응이 매우 긍정적”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컴투스플랫폼은 이번 게임스컴 B2B 전시관에 단독 부스를 열고, 글로벌 퍼블리셔와 개발사를 대상으로 하이브의 기술력과 경쟁력을 적극 알렸다. 김 상무는 “동남아 시장 중심의 전략을 수정하고, 북미·유럽처럼 생산자와 소비자가 공존하는 ‘빅마켓’ 공략을 본격화했다”고 강조했다.
하이브플랫폼은 계정 인증, 빌링, 웹상점, 보안, 애널리틱스 등 필수 운영 기능을 하나의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SDK)와 통합 페이지로 제공하는 서비스다. 게임사는 핵심 콘텐츠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고, 운영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북미·유럽 시장은 그동안 콘솔·PC 기반의 전통적 서버 운영이 강했다. 프리투플레이(F2P) 확산과 함께 라이브옵스 수요가 가파르게 늘고 있다.
김 상무는 “하이브는 모바일과 PC 특화 운영 자동화 기능, 대규모 실시간 서비스 역량까지 제공한다”라며 “실제 데모 시연에서 현지 퍼블리셔, 개발사 등 경영자들이 ‘이런 솔루션은 처음 본다’고 놀라워했다”고 귀띔했다.
현재 하이브는 250개 이상의 게임에 적용됐으며, 누적 이용자 수는 9억명을 돌파했다. 또한 내부 게임 제외 약 130~140개의 외부 게임이 등록돼 있으며, 이 중 90개 이상이 해외 게임사다. 김 상무는 “올해 외부 매출만 100억원을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라며 “이번 게임스컴에서도 최소 2~3건의 신규 계약이 성사될 것”이라고 밝혔다.
하이브는 단순 서비스 도구를 넘어 광고, 결제, 수익화 등 제휴 솔루션과의 연동을 강화하며 ‘락인 효과’를 키우고 있다. 나아가 인공지능(AI) 추천 엔진과 블록체인 연동을 도입해, 1인 개발자도 글로벌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는 자동화 환경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 상무는 “유럽 시장은 높은 잠재력을 가진 핵심 전략지”라며 “하이브를 통해 글로벌 게임사들이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든든한 파트너가 되겠다”고 포부를 전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