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GA, 직장 내 괴롭힘에 보복 징계까지…하루도 조용할 날 없다 [SS시선집중]

본문

[스포츠서울 | 김민규 기자] 한국프로골프협회(KPGA)가 이번에는 보복성 징계로 시끌벅적하다. 직장 내 괴롭힘 사건 가해 고위임원을 뒤늦게 해임했지만, 피해자들에게도 징계를 강행, 또다시 비판의 중심에 섰다. 국회까지 나섰다. KPGA는 신뢰를 완전히 상실해 존폐를 걱정해야 할 처지까지 내몰렸다.
문제의 고위임원 A는 직원들에게 폭언·욕설에 노조 탈퇴 강요까지 일삼은 것으로 확인됐다. KPGA는 사건이 세상에 드러난 후 8개월이 지나고 여론이 들끓은 뒤에야 긴급 이사회(25일)를 열고 뒤늦은 해임 결정을 내렸다.
KPGA 노동조합은 “국민적 공분을 의식한 형식적인 꼬리 자르기에 불과하다”고 일축했다. “피해 직원들에 대한 부당 징계와 조직 내 권력형 가혹행위에 대해서는 아무런 책임도 지지 않고 있다”고 반발했다.

가장 큰 문제는 가해자 해임 이전에 피해자들을 먼저 징계했다는 점이다. KPGA는 지난 8일, 피해 직원들에게 해고·견책·경고 등 무더기 징계를 단행했다. 근거는 가해자 A가 폭언과 압박 속에 받아낸 경위서였다.
이를 두고 노조는 “공정성과 절차적 정당성이 완전히 무너진 징계”라고 꼬집었다. 강요에 의한 진술은 사법부에서도 증거로 채택하지 않는다. KPGA 이사회가 ‘최소한의 상식’이라는 법 위에 군림한다는 인상을 지울수 없다.
실제로 징계위원회는 가해자와 밀접한 관계의 이사진 중심으로 구성됐다. 가해자 해임을 수개월 미룬 인물들이 결정권자로 참여한 것만으로도 ‘기울어진 위원회’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이번 사태는 국회로까지 번졌다. 진보당 손솔 의원은 29일 열린 문화체육관광부 최휘영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직접 이 사건을 거론했다. “KPGA는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익 법인”이라며 문체부의 사무검사 및 감독 개입을 공식 요청했다.

손 의원은 “가해자는 해임됐지만 피해자들은 여전히 부당한 징계를 안고 있다. 스포츠 조직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KPGA는 공적 책임을 지는 단체로서 자격이 없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에 대해 최휘영 후보자는 “사건을 인지하고 있다. 임명 후 확인해보겠다”고 답했다. 향후 KPGA 대상 사무감독이나 감사에 착수할 가능성을 시사한 셈이다. 더구나 아마추어 선수들이 피땀흘려 따내는 프로 자격을 몇 차례 챔피언스(시니어)투어 대회 후원사 대표에게 무상으로 부여하는 등 ‘투명과 공정, 페어플레이’를 기본가치로 하는 프로 스포츠단체의 ‘역무’를 스스로 져버렸다. 사고단체로 전락해도 이상하지 않다.
KPGA는 지난 15일 ‘재발방지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사회 논의조차 없었던 것으로 확인돼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노조는 “문제 해결의 시작은 피해자들에게 내려진 징계 철회와 복직 조치”라며 “가해자만 해임하고 피해자를 내치는 방식은 2차 가해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8월4일에는 해고자 2명의 재심과 함께 추가 징계가 예고돼 있다. 노조는 절차 위반과 징계위원회의 독립성 훼손을 이유로 징계 전체를 무효라고 주장하며, 사측의 전면 재검토를 촉구하고 있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