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 동접+IOC도 주목했다” 크래프톤 이민호 총괄이 밝힌 ‘배그 e스포츠’ 현재와 미래 [SS인터뷰]

본문

[스포츠서울 | 김민규 기자] “국가대항전은 클럽이 줄 수 없는 감정이 있다. PNC가 특별한 이유다.”
2025년 배틀그라운드 국가대항전 ‘펍지 내이션스 컵(PNC)’이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리며 e스포츠 팬들의 심장을 요동치게 했다. 크래프톤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 이민호 총괄은 “올해 PNC는 단순한 스케일 확장이 아닌, 팬들에게 감정의 진폭을 넓혀주는 실험의 해”라고 강조했다.
이민호 총괄은 26일 서울 올림픽공원 핸드볼 경기장에서 열린 ‘PNC 2025’ 현장 인터뷰에서 “PNC는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의 아이덴티티 그 자체”라며 “전 세계에서 유일한 국가대항전 지식재산(IP)이고, 선수 선발이나 일정 조율이 어려운 만큼 준비가 더 까다롭다. 그러나 다른 대회에 비해 감정의 무게가 다르기 때문에 계속 도전하고 있다”고 힘줘 말했다.

올해 PNC는 24개 팀이 참가, 닷새간 열렸다. 지난해보다 참가국 수, 일정, 상금 모두 확대됐다. 여기에 에스파와의 협업 무대까지 준비했다. 기존 배틀로얄 e스포츠가 주는 ‘전술의 미학’에 더해 ‘흥행의 감성’까지 덧입혔다.
그는 “팬들과 업계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PNC를) 과감히 확장했다. 다양한 시도를 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싶었다”라며 “무조건 확장이 좋은 건 아니다. 그래도 24개국 이상의 국가나 지역을 대표하는 팀을 구성할 수 있는 e스포츠 종목이란 점에서 자부심을 느낀다. 내년에 더 많은 지역이 참가할 수 있도록 적극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는 ‘지속가능성’이라는 난제를 직면하고 있다. 최근 몇몇 유명 팀이 해체되면서 팬들의 우려도 컸다. 관련해 이 총괄은 “자연스러운 과정”이라면서도 “최근 해외 팀인 TSM의 해체 소식이 있었는데, 한때 e스포츠 구단 가치 1위를 했던 곳임에도 부침을 겪었다. 진정성을 가지고 함께 성장할 팀을 확보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글로벌 파트너 팀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3년간 운영하며 이탈 없이 유지됐고, 선수 간담회를 통해 게임 개선에도 반영하고 있다”라며 “지금까지는 성공적이지만 상품 판매나 팬 보상 등의 측면에서 더욱 고도화가 필요하다”라고 진단했다.
그렇다면 배틀그라운드가 동시접속자 수 100만명을 재돌파한 비결은 무엇일까. 이 총괄은 “개발, e스포츠, 퍼블리싱 부문이 하나로 통합돼 전략적으로 움직였다”며 “게임의 인기 반등에 e스포츠가 일정 부분 기여했다는 내부 평가도 있다”라고 설명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의 접점도 흥미롭다. 크래프톤은 지난 6월 한국 게임사 중 유일하게 IOC e스포츠포럼에 초청받았다. 이 총괄은 “총기 게임은 여전히 조심스럽지만, 논의의 테이블에 초대된 것 자체가 변화의 시그널”이라며 “게임성을 유지하면서도 상호 존중이라는 IOC의 가치와 맞닿는 방향성을 모색 중”이라고 전했다.

향후 방향에 대해 그는 “이제는 경기력뿐만 아니라 팬들이 왜 e스포츠를 봐야 하는지에 대한 ‘서사’를 고민할 때”라고 했다. 그는 “스타 선수를 알리는 작업, 시청자와 게임을 연결하는 구조, 스트리머와의 협업 등 e스포츠를 콘텐츠 산업으로 재정의하는 게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끝으로 이 총괄은 팬들에게 “좋은 순간, 좋지 않았던 순간 모두 함께해준 팬들이 있었기에 여기까지 왔다”라며 “배틀로얄이라는 장르의 기준을 세운 게임답게, e스포츠에서도 장르-디파이닝 종목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댓글목록0